마플 파트너스란?
A, B 2개 안으로 정리했습니다. A안은 각 파트너사에 대한 설명을 영상으로 제작하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고, B안은 영상없이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안의 공급파트너 영상은 상품 큐레이션 또는 인플루언서가 제품을 소개하는 내용으로 제작하는 것을 염두에 두었고, 제작파트너 영상은 공장에서 제품을 찍어내거나, 인쇄하는 과정을 소개하는 영상을 생각하였습니다.
A안 - https://zpl.io/a3PYo1y, https://zpl.io/a8qYekJ
마플샵 플러스란?
마플 서비스 소개 디자인
→ 마플 파트너스, 마플샵플러스, 마플서비스소개 이 3가지 모두 메인 키비주얼에 문제가 있는것 같아요.
→ 마플파트너, 마플샵플러스 메인 키비주얼에 캐릭터가 들어가는게 맞는것인가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것 같습니다. 메인 키비주얼에서는 캐릭터 사용을 하지 않는게 맞다고 생각이 드네요. 키비주얼부터 버튼까지 전체를 다 캐릭터화하니 캐릭터디자인하는 회사 같아보여요. 캐릭터를 사용하더라도 tpo에 맞게 써야하는것 같구요.
그리고 지금 장면들은 서비스에 대해 설명해 주고 있지 못한 부분도 있고, 마플샵, 마플샵플러스, 마플파느터 페이지들이 각각 다른 타겟으로 다른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설명 해야하는데 메인 키비주얼이 영상 시퀸스에서 나오는 장면 캡쳐한 화면처럼 모두 동일해 보입니다. 메인 비주얼에서 다른 서비스인걸 알게 하고 싶은데 3가지를 보면 무슨 차이인지 전달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크리에이티브 센터
→ 확인했습니다. 이슈없습니다.
컨택
→ 주소가 헤드오피스 밖에 없어서, 본사 주소(가산)도 추가되어야 할것 같아요.
→ 구도는 B안이 나은것 같습니다.